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개발연구원, 집에서 만나는 테마여행 10선, 여행을 배달해드립니다
-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지역 현황(출처;보도자료)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개발연구원(대표 이동원)과 함께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이하 테마여행 10선)’ 실시간 온라인 여행 상품과 ‘집콕여행꾸러미’ 상품을 출시한다. 이를 통해 테마여행 10선 지역의 아름다운 관광지와 숨은 이야기, 직접 가야만 체험할 수 있던 즐길 거리까지 집에서 만나 볼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은 국내 39개 지역을 선정, 고유한 주제(테마)와 이야기가 있는 10개 권역으로 묶어 특별한 지역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2017∼2021)이다.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집콕여행꾸러미(출처;보도자료)전문 해설가와 실시간으로 지역 이야기를 나누며 떠나는 온라인 여행온라인 여행 상품은 전문 해설가와 온라인 관광객들이 매력적인 테마여행 10선 지역을 영상으로 함께 여행하며 실시간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하는 상품이다. 국내외 여행 전문 누리집에서 2월 25일까지 한국어 해설을 제공하는 내국인용 상품 6종과 영어 해설을 제공하는 외국인용 상품 9종을 판매한다.10권역 ‘내몸을 위한 처방전’ 구성품(출처;보도자료)내국인용 상품은 익숙한 지역에서도 새로운 매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깊이 있는 해설과 영상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대구 이중섭 투어’, ‘광주 양림동 랜선여행’, ‘요즘 경주’, ‘군산 타임슬립투어’ 4종과, 아이들을 위해 쉽고 재미있게 기획한 ‘경주 역사 여행’, ‘군산 근대사 여행’ 2종을 마련했다. 모든 상품은 ‘마이리얼트립(myrealtrip.com)’에서 이용할 수 있고, 아이들을 위한 상품 2종은 ‘놀이의 발견(nolbal.com)’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한국 방문이 어려운 외국인들이 간접여행을 할 수 있는 상품 9종은 권역별 추천 관광지와 먹거리를 영어로 소개하고 실제 여행하듯 일정에 따라 관광지 영상을 제공한다. 특히 체험한 여행 일정에 관한 정보는 별도로 제공해 외국인 이용자들이 향후 한국 여행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상품들은 여행 전문 해외 누리집인 ‘바이에이터(Viator)’와 ‘케이케이데이(Kkday)’에서 ‘코리아 버추얼 투어(Korea Virtual Tour)’로 검색해 구매할 수 있다.집에서 즐기고 체험하는 테마여행 10선, ‘집콕여행꾸러미’ 출시아울러 집에서도 여행이 주는 설렘을 느끼고 지역 특산물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집콕여행꾸러미’ 6종도 마련했다. 꾸러미에는 지역 청년들이 만든 특산품, 지역 고유의 음식, 지역에서만 체험할 수 있는 만들기 등 즐길 거리*와 함께 지역 여행지 소개자료, 체험 영상 등 풍부한 볼거리까지 담았다. 또한 앞으로 더욱 안전하고 자유롭게 국내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시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 여행 정보, 관광지 할인권 등도 넣어 집으로 배달할 예정이다.집콕여행꾸러미 상품은 1월 20일부터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온라인 매장 ‘29cm(29cm.co.kr)’ 누리집에서 일주일 간격으로 순차 출시(~2. 25.)하고, 상품 1종당 150개 수량(총 900개)으로 소진 시까지 판매한다. 온라인 여행 상품과 ‘집콕여행꾸러미’ 상품 출시 및 판매, 테마여행 10선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테마여행 10선’ 공식 누리집(ktourtop10.kr)과 공식 인스타그램(instagram.com/ktourtop10)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기 위한 ‘집콕’ 생활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여행과 ‘집콕여행꾸러미’가 국민들이 코로나 우울을 극복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라며,“자유롭게 여행을 떠나는 날을 기다리며, 국내외 많은 관광객들이 집으로 배달되는 ‘여행의 설렘’을 즐겨주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2021-01-22

- 산림청 국립수목원, 한반도 자생 수목에 대한 모든 것 담았다
- 국립수목원 한반도 수목지 표지(출처;보도자료)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한반도 자생 수목에 대한 기재, 분포정보, 생육환경 정보 등을 포함한‘한반도 수목지(IV, V)’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되는 한반도 수목지(IV, V)는 인동과(인동덩굴, 괴불나무 등 18분류군), 장미과(마가목, 아구장나무 등 37분류군), 노린재나무과(검은재나무 등 4분류군) 총 59분류군에 대한 상세한 기재, 분류학적 논의, 자생지 분포, 형태학적 특성, 화분학적 특성, 세포학적 특성, 생육환경 특성, 용도 등 종합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기존 아구장나무의 학명으로 알려진 Spiraea pubescens Turcz.는 명명규약상 사용할 수 없는 이름으로 확인되어 Spiraea tacea Nakai로 새로이 정리되었으며, 남한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털괴불나무(Lonicera subhispida Nakai)는 길마가지나무(Lonicera harae Makino)의 오동정으로 확인됐다.국립수목원 한반도 수목지의 수목지(출처;보도자료)국립수목원은 2017년 층층나무과, 장미과 등의 주요 자생수목 25종을 수록한 수목지(I) 발간을 시작으로 분류군별 연구가 완료되는 순서에 따라 한반도 주요 자생수목에 대한 종합총서를 순차적으로 발간하고 있으며, 연구가 마무리되는 2024년부터는 수목의 용도, 병해충 관리, 자원 으로서의 이용 방법 등이 포함된 한반도 수목지(종합편)을 발간할 계획이다.최 원장은“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등 환경과 건강에 대한 산림의 역할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해 국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며,“본 수목지가 주요 수목자원의 활용 및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에 소중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이번에 발간한‘한반도 수목지(IV, V)’은 국립수목원 누리집(연구 → 연구간행물 코너, https://kna.forest.go.kr)에서 PDF로 누구나 내려 받을 수 있다.
- 2021-01-22

- 해양수산부, 올 한 해를 빛낼 해양수산 유망기업은 주목!
- 온라인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설명회 포스터(출처;보도자료)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하 KIMST, 원장 조승환)은 지난 18일 해양수산 유망기업 등을 위한 ‘온라인 해양수산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해양수산 창업‧사업화 지원사업은 해양수산 분야에 종사하는 창업기업(예비창업자 포함)과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돕고 해양수산 투자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실시되어 온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이 중 창업투자 지원 사업을 통해 75개 기업에서 446억 원의 매출과 107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올해는 사업화 자금 지원규모를 기업당 2천 5백만 원에서 3천만 원으로 높였으며, 투자유치 컨설팅 지원 대상도 15개에서 30개 기업으로 확대하였다. 성장가능성이 높은 창업기업의 기술개발과 이미 확보된 기술의 고도화 및 기술이전을 지원하기 위해 ‘해양수산 기술창업 스케일업 연구개발(R&D)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올해 사업 설명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KIMST 공식 누리집(https://kimst.re.kr)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영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해양수산 분야 기업을 포함한 대학, 연구기관 등 창업과 기술사업화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설명회 영상을 볼 수 있다.설명회에서는 ▲ 창업투자 ▲ 사업화 연구개발(R&D) ▲ 기술거래·사업화 ▲ 기술인증·평가의 4개 세션별로 주요 사업의 지원내용과 규모, 지원대상, 선정절차 등에 대한 안내가 진행될 예정이다. 세션별 지원사업에 대한 문의사항 등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 KIMST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참조서(디렉토리북)’를 참고하면 되며, 참조서에 안내된 지원사업별 담당자의 연락처를 통해서도 질의할 수 있다. 오영록 해양수산부 해양수산과학기술정책과장은 “해양수산 분야의 창업·투자 및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을 통해 창업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들이 올 한 해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며,“해양수산 분야 사업화에 관심 있는 많은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올해도 눈에 띄는 성과들이 나오게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2021-01-22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학진흥원, 2021년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500명 신규 모집
- 13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선발 포스터(출처;보도자료)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조현재, 이하 국학진흥원)과 함께 우리 옛이야기를 어린이들에게 전달하는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500명을 새롭게 선발한다. 2009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3년째를 맞이한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전통문화를 매개로 세대 간 소통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해 왔다. 특히, 여성 어르신들에게는 인생 이모작 활동을 지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어린이들에게는 전통문화 교육 기회를 제공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포항시 대보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서 조은숙 이야기할머니 활동모습(출처;보도자료)현재까지 이야기할머니 총 5,664명이 함께했고, 그중 4,130명이 계속 활동하고 있다.문체부와 국학진흥원은 2021년에도 ‘13기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를 500명 규모로 추가 선발하고, 일정 교육 기간을 거친 후 올해 10월부터 현장에 파견한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 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화상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안전한 환경 속에서 이야기할머니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12기 이야기할머니 부산지역 면접(출처;보도자료)이번 13기에는 만 56세부터 74세까지(1947년 1월 1일~1965년 12월 31일 출생)의 대한민국 국적 여성 어르신으로서 어린이를 사랑하는 마음과 이야기 구연에 필요한 기본 소양과 재담을 가진 분이라면 누구든 지원할 수 있다. 지원자는 ‘이야기할머니사업단 누리집(www.storymama.kr)’에서 선발 공고문을 확인하고, 1월 18일부터 2월 22일까지 지원서를 작성해 ‘국학진흥원 이야기할머니 사업단’에 우편(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또는 전자우편(storymama@koreastudy.or.kr)으로 접수하면 된다. 문체부와 국학진흥원은 1차 서류심사와 이야기 구연 능력을 포함한 2차 면접 심사를 통해 예비 합격자를 결정하고, 예비 합격자들은 5월부터 9월까지 60여 시간의 교육과정(1회당 교육 수당 3만 원 지급)을 이수한 후 평가를 거쳐 ‘13기 이야기할머니’로 최종 선발된다. 선발된 이야기할머니는 올해 10월부터 현장 실습을 하고, 향후 5년간 거주 지역 인근의 어린이집, 유치원에서 활동(1회당 활동 수당 4만 원 지급)하게 된다.지원서 접수 등 ‘13기 이야기할머니’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문체부(www.mcst.go.kr)와 국학진흥원(www.koreastudy.or.kr), 이야기할머니 누리집에서 확인하거나 이야기할머니사업단 대표전화(☎ 080-751-0700)로 문의하면 알 수 있다.
- 2021-01-22

- 농림축산식품부, 우리 농식품으로 따뜻한 명절을 선물해 주세요!
- 우리 농식품 설 선물세트 안내(출처;보도자료)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설 명절을 앞두고 우리 농식품의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농축수산식품 선물세트를 소개하는 ‘마음이음마켓(www.holidaygift.co.kr)’을 운영한다.코로나19 장기화,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업인 등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지난 추석에 이어 올해 설에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마음이음마켓’은 지자체 및 유관기관으로부터 추천을 받은 지역 특산품, 식품명인 및 청년창업농 제품 등으로 구성된 340여 개 선물세트를 소개하는 전자 상품모음집(e-catalogue)이다.지자체로부터 추천받은 지역 특산품 220여 개, 우수한 식품의 계승발전을 위해 국가가 지정한 식품명인이 만드는 감홍로, 한과종합세트 등 28개 상품을 포함하고 있다.경영활동 경력이 3년 미만으로 짧은 청년 창업농이 생산한 27여 개 상품도 함께 수록했다.한편, 마음이음마켓은 과일, 화훼, 쌀․잡곡, 축산물, 김치․장류, 건강식품, 수산물, 임산물 등 11개 품목군으로도 안내하고 있으며, 관심 있는 상품을 선택할 경우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로 연계되어 구매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현재 농식품부 및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내고장 알리미),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자체 누리집에 ‘마음이음마켓’을 올려서 안내하고 있다.구매를 원하는 업체․일반 국민은 위의 기관 누리집 또는 포털에서 ‘우리 농식품 설 선물세트’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노수현 식품산업정책관은 “코로나19로 모두 어려운 상황이지만, 정부, 공공기관, 경제단체 등에서 설 선물을 준비할 때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시길 부탁드리며, 좋은 취지로 운영중인 만큼 널리 알려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올해는 비대면 졸업, ‘설렌타인(설 + 발렌타인 데이)’ 등으로 화훼 소비 감소가 우려되어 꽃 상품도 추가로 준비하였으니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농식품부는 농협과 협업으로 1.18.부터 전국의 농협 현금입출금기를 통한 홍보 등을 전개하여 설 명절 계기 우리 농식품의 소비 확대를 위해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 2021-01-20

- 산림청, 한국 정원문화 진흥과 산업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산림청, 전라남도, 담양군, 한국수목원관리원, 한국정원문화원건립 업무협약(출처;보도자료)산림청(청장 박종호)는 지난 18일 담양리조트에서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 담양군(군수 최형식), 한국수목원관리원(이사장 김용하)과 ‘한국정원문화원 건립·운영 공동추진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날 협약식에는 산림청 박종호 청장과 전라남도 김영록 도지사, 담양군 최형식 군수, 한국수목원관리원 김용하 이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이번 업무협약은 한국정원문화원 건립 추진단계별 기관 간 역할 정립, 재원 분담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 체결에 따라 협약기관들은 △한국정원문화원 건립·운영 사업비 확보 △건립부지 매각·매입절차 신속이행 △인허가 등 행정절차 추진 △건립·운영 인력지원 △운영 활성화 노력 △부대시설 조성계획 수립 등 사업추진 단계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협약기관들은 건립 후에도 정원진흥사업 추진, 지역 정원자원 및 관광자원 등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 대외홍보 등을 위해 긴밀히 협조할 계획이다. 한국정원문화원은 한국형 정원의 기술개발과 보급, 전문인력 양성·배출 등 한국형 정원의 저변 확대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가 주도로 건립되는 전문기관이다.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일원에 약 7만㎡ 규모로 조성되며, 정원문화관, 교육시설, 실습장 및 전시정원, 편의시설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한국정원문화원이 건립되면 소쇄원 등 담양지역의 우수한 한국 정원 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한국 정원 저변 확대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박 청장은 이번 협약으로 “한국정원문화원 건립사업의 효율적인 추진과 체계적인 운영·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협약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한국정원문화원을 정원문화·산업 진흥의 핵심공간으로 만들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2021-01-20

- 해양수산부, 이제는 항만에서 맑은 하늘 보세요!
- 제1차 항만지역 등 대기질 종합계획 체계도(출처;보도자료)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향후 5년간 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제1차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2021~2025)’을 수립하고 지난 18일 발표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항만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관심과 함께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항만·선박 미세먼지 종합대책(2018. 1.)‘, ’항만·선박분야 미세먼지 저감 강화방안(2019. 6.)‘ 등 항만·선박 분야의 초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해 왔다.2019년 4월에는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하 항만대기질법)」을 제정(2020. 1. 1. 시행)하여 선박 저속운항프로그램, 배출규제해역 등 항만 대기질 개선 정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이번 종합계획은 「항만대기질법」에 따라 5년마다 중장기적으로 항만지역 등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수립되는 것이다.‘제1차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은 ‘맑은 공기, 숨 쉬는 항만’이라는 비전 아래 2025년까지 항만 배출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을 60% 감축(2017년 대비) 하는 것을 목표로 4대 전략 아래 15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이번 계획은 선박을 포함한 항만 하역장비, 항만 출입 화물자동차 등 항만 내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현황 및 전망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 선박 기인 대기오염물질 저감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연료유 황 함유량 기준 강화에 맞춰 내항선 저유황유 의무화(황함유량 0.5%↓, 2021. 1.~), 배출규제해역*(황함유량 0.1%↓, 2022. 1.~) 지정 등을 추진한다. 또한, 선박의 연료소모량을 줄여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인 ‘선박 저속운항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수 참여선사 공개, 신청·증빙절차 간소화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여 2025년까지 프로그램 참여율 90%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친환경선박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의 친환경선박 대체건조, 친환경설비 설치 등을 지원하고, 해양수산부 소속 관공선의 친환경선박 전환, 배출가스저감장치(DPF) 부착 등을 추진하여 2025년까지 해양수산부 소속 관공선의 약 80%를 친환경화한다. 아울러, 차세대 친환경선박으로 떠오르고 있는 수소·전기추진선과 관련된 기술개발 및 실증도 병행한다.<2> 항만의 친환경화항만 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고, 친환경항만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하역장비인 ‘야드트랙터(YT)’의 연료를 LNG로 전환하는 등 친환경화를 추진하고, 항만별 하역장비 운영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항만 맞춤형 하역장비 친환경화 방안을 마련하여 2025년까지 항만 내 주요 하역장비의 90% 이상을 친환경으로 전환한다. 또한, 항만출입관리시스템 및 환경부의 5등급 차량정보 연계를 통해 항만 내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적용한다. 아울러, LNG 추진선박 확대 등 LNG 벙커링 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부산, 울산 등 주요항만에 LNG벙커링 터미널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항만에 정박 중인 선박의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2030년까지 13개 주요 항만에 248선석의 고압 육상전원공급장치(AMP)를 확충하는 한편, 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수전시설 설치 지원 등을 통해 이용을 활성화할 계획이다.<3> 항만지역의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항만에서 시멘트, 석탄, 모래 등 분진성 화물을 취급할 때 발생하는 비산먼지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분진성 화물의 하역·저장시설을 건립하고, 분진성 화물 취급항만을 중심으로 나무를 심어 수림대를 조성하는 등 비산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미세먼지에 노출되기 쉬운 어업인과 항만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대응 행동요령을 교육하고, 고농도의 미세먼지 발생 시 하역장 물청소 및 친환경 하역장비 우선 사용 등 저감조치를 시행하도록 한다.<4> 항만 대기오염물질 관리기반 구축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선박, 하역장비, 화물자동차 등 배출원별로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항만 대기질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디지털 트윈 기술로 가상항만을 구현하여 인공지능을 통해 항만의 대기오염 분석 및 정책효과 등을 시뮬레이션하는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아울러, 지역별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저감대책 현황을 공유하고, 정책추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주요 항만별로 지방해양수산청, 지방환경청, 지자체, 항만공사 등이 참여하는 지역 협의체를 운영하여 세부 저감대책과 협력사항 등을 논의한다. 전국 항만 내 대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망 15개소를 추가로 확충하여 항만 내 대기질을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정확한 오염도 파악 및 대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배출전망치(BAU) 분석에 따르면, 2025년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은 10,070톤으로 2017년(7,958톤)보다 약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번 종합계획의 이행을 통해 2025년 항만 배출 미세먼지를 3,165톤 이하로 대폭 저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큰 만큼, 항만에서도 적극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철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5년간의 계획을 마련하였다.”라며,“이번 종합계획은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을 위한 첫 단추인 만큼, 목표를 원만히 달성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및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2021-01-20

- 식품의약품안전처, “일반의약품 사용설명서 버리지 마세요!”
- 일반의약품 사용설명서 버리지 마세요 카드뉴스(출처;보도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약국에서 손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 사용하기 전에 외부포장·용기나 첨부문서에 기재된 사용설명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의약품의 외부포장이나 용기에는 효능‧효과뿐만 아니라 특별히 주의해야 할 경고 사항과 반드시 알아야 할 부작용 정보 등이 요약되어 있다.첨부문서에는 약의 효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첨부문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정보표시면 표준서식 예시(출처;보도자료)의약품을 사용할 때 외부포장·용기나 첨부문서가 없으면 사용기한이 지났는지 확인이 어렵고 용법·용량 등 허가사항과 다르게 복용할 수 있어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다.따라서 원래 포장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분실했을 때는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에서 제품명을 검색해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 허가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외부포장·용기는 ‘주표시면’과 ‘정보표시면’으로 구분한 표준서식을 적용하고 있다.일반의약품 정보 표시의 예(출처;보도자료)‘주표시면’은 소비자가 의약품을 구매할 때 제일 먼저 확인하는 부분으로 ‘일반의약품’ 표시와 함께 제품명, 용량, 개수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일반의약품은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적고 의사의 지시·감독 없이 사용하더라도 안전성과 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안전상비의약품은 일반의약품 중 가벼운 증상에 시급하게 사용하기 위해 소비자 스스로 판단해 구매‧사용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편의점 등에서 구매 가능하다.‘정보표시면’은 의약품 사용·취급에 필요한 정보를 모아 표시한 부분으로 성분명, 함량,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취급 시 주의사항, 저장방법, 사용기한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밖에 중요한 이상 반응이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경고문’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의약품 외부포장‧용기에는 제조번호와 사용기한(연·월·일)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기한이 지난 의약품은 약효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어 사용기한 내에서만 사용해야 한다.의약품 구성성분 중 보존제, 타르색소, 동물유래성분 등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식약처 관계자는 “의약품 사용 전 외부포장‧용기나 첨부문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허가된 효능·효과, 용법·용량 등에 따라 사용해야 의약품을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고 당부하고 “앞으로도 우리 국민이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확한 의약품 사용법을 알기 쉽게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2021-01-19

- 한국도로공사, 올해 고속도로 사망자 8명 중 5명이 2차사고로 사망!
- 2차사고 예방 운전자 행동요령 포스터(출처;보도자료)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는 최근 고속도로에서 2차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2차사고는 치사율이 60%로 일반 사고 치사율 9%의 6.7배에 달하고, 겨울철 추운 날씨도 2차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의 하나이며 사고·고장 시 비상등을 켜고 가드레일 밖으로 우선 대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올해 발생한 고속도로 사망자 8명 중 5명이 2차사고가 원인이었다.공사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2차사고의 치사율(사망자수/사고건수)은 60%로 일반사고 치사율인 9%의 약 6.7배에 달할 정도로 치명적이며, 최근 5년간(2015~2019)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2차사고 사망자는 170명으로 연평균 34명에 달한다.2차사고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선행차량 운전자의 대피 미흡과 후속차량의 졸음·주시태만·안전거리 미확보 등이며, 겨울철의 추운 날씨도 2차사고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추운 날씨로 탑승자가 대피하지 않고 정차한 차량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많고, 후속차량들은 환기없이 장시간 히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졸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아울러 경유는 영하 17도에도 얼기 시작하며, 연료필터 안에서 얼게 되면 연료공급이 되지 않아 차량의 시동꺼짐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2차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운전자들의 사고 후 행동요령 숙지가 가장 중요하다. 고속도로 주행 중 사고나 고장 등으로 정차할 경우, 신속히 비상등을 켜 후속차량에 상황을 알린 뒤 가드레일 밖 안전지대로 우선 대피해 신고 및 안전조치를 해야 한다.후속차량 운전자가 정차된 차량이나 사람을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고속도로는 갓길이라도 안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또한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 겨울철이라도 틈틈이 차량 안을 환기시키고, 졸음이 올 경우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 경유 차량의 경우 주행 중 정차를 막기 위해서 연료 동결방지제를 주입해 연료의 어는점을 낮추고, 연료필터 등을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021-01-19

-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관광기업 지원 사업 설명회 온라인 생중계
- 2021년 관광기업 지원 사업설명회 포스터(출처;보도자료)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 이하 공사)와 함께 1월 21일 오후 2시, ‘2021년 관광기업 지원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공사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한다. 문체부는 관광기업 지원 예산을 2020년 564억 원에서 2021년 793억 원으로 40.6% 증액해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광기업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관광업계의 빠른 회복을 돕고 급변하는 관광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강소형 관광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중점적으로 안내한다.주요 내용으로는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광기업의 재도약을 돕고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광기업지원센터(서울·부산·대전-세종·인천·경남 등 5곳) 입주 지원, ▲ 법률·특허·재무 등 전문 상담(컨설팅)을 통해 창업에서부터 관광기업 육성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관광기업 원스톱 서비스’ 운영, ▲ 관광기업의 성장단계별(예비-창업초기-성장) 맞춤형 지원 확대(2020년 85억 원 → 2021년 97억 원) 등이 있다.또한 ▲ 관광기업의 디지털 혁신 지원을 위한 관광기업 혁신이용권(바우처) 사업(’20년 37억 원 → 2021년 59억 원)과 ▲ 인공지능(AI), 플랫폼, 실감 콘텐츠 등 혁신적 디지털 기술보유 관광기업을 선정해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세계적(글로벌) 선도기업 육성(2020년 15억 원 → 2021년 51억 원) 사업을 확대하고, ▲ 관광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정보통신기술(ICT) 관광기업으로 육성하는 관광 플러스팁스 사업(2021년 16억 5천만 원)을 실시한다. 중기부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사업(TIPS 프로그램 -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Korea)’이다.관광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 관광기업 육성자금(펀드)을 확대해(’20년 300억 원→’21년 450억 원) 관광 분야 중소·벤처기업에 집중 지원하고, ▲ 대중 투자(크라우드 펀딩, ’21년 9억 원)와, 초기관광기업을 육성·투자하는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와 함께하는 관광육성(액셀러레이팅) 사업(2021년 30억 원)을 통해 관광기업에 대한 민간투자를 유도한다. 창업기획자 (액셀러레이터)는 중기부에 등록된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등 유망 초기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전문육성기관으로, 관광기업 단계별 육성 종료 후 해당 기업에 최소 2억 원 이상 투자의무 부여한다.주요 지원 사업 안내 이후에는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으로 접수한 질의사항에 대해 응답하는 시간도 이어진다. 그 외의 더 궁금한 사항은 이번 설명회 때 사업별로 공개한 담당 연락처를 통해 수시로 문의해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사업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관광기업 지원 사업 누리집(www.tourbiz.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21-01-19




국민안전
SECURITY



라이프
신문사알림
![]()